[육감통계] 제 3의 맛, 발효가 대세!
트렌드 · 2025-03-19
‘애사비’를 아시나요?
한때 유행했던 홍초와 콤부차를 지나, 요즘은 애사비의 인기가 뜨겁습니다. 애사비는 '애플 사이다 비네거(Apple Cider Vinegar)'의 줄임말인데요, 사과를 갈아 만든 즙에 설탕과 효모를 넣어 한 달 이상 발효해 만든 사과 발효 식초예요. 애사비에 들어있는 아세트산(초산)은 소화 기능 개선, 혈당 조절, 콜레스테롤 감소, 항균 효과 등이 있어 다이어트 보조제로도 각광받고 있어요.
최화정, 전현무 등 많은 연예인들이 애사비를 물에 타 마시는 모습이 방송에 나오면서 소비자들의 관심이 더욱 높아졌는데요. 지난 3년 사이 '애사비' 언급량은 약 12.5배 늘어났어요.
※ 애사비는 강한 산성을 띠어 치아 손상을 유발하거나 위산 역류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원액을 반드시 물에 희석해 섭취하세요.
소셜미디어에서 ‘애사비’와 함께 가장 많이 검색된 키워드는 ‘다이어트’, ‘혈당(혈당 관리)’, ‘건강’, ‘운동’, ‘관리’ 등 건강과 관련된 주제들이었어요.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MZ세대 사이에서 애사비를 활용한 ‘애사비 다이어트’나 ‘애사비 레시피’가 트렌드로 떠오르고 있으며, 관련 콘텐츠 조회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애사비는 일시적 유행이 아니라 건강을 고려한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어요. 스텔라 마켓 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애플사이다비네거 시장은 2024년 17억 9,000만 달러에서 2030년에는 29억 8,000만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며, 연평균 7.57%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체중 감량, 장 건강, 디톡스 등에 활용되면서 건강 관리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들에게 필수 아이템으로 자리 잡고 있는 것이죠.
전 지구적으로 뜨는, 발효식품의 세계
이러한 건강 트렌드는 애사비뿐만 아니라 다양한 발효식품으로도 확장되고 있어요. 다이어트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면서, 발효식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건데요.
발효식품은 미생물(유산균, 효모, 곰팡이 등)이 식품 속 탄수화물이나 단백질을 분해하면서 새로운 풍미와 영양을 만들어내는 식품을 말해요. 특히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유기산, 효소, 프로바이오틱스(유익균) 등은 장 건강과 면역력 강화, 소화 개선 등에 도움을 주며, 이러한 기능성이 소비자들의 선택을 이끄는 주요 요인이 되고 있어요.
사실, 이러한 흐름을 미래학자 앨빈 토플러도 예견한 바 있습니다. <부의 미래>에서 “세계는 발효식품의 시대가 될 것이다. 제1의 맛은 소금, 제2의 맛은 양념, 제3의 맛은 발효의 맛이다. 세상은 서서히 발효의 시대로 옮아 가고 있다.”라고 말했거든요. Global Market Insights에 따르면, 2023년 전 세계 발효가공식품 시장은 1,058억 달러 규모였으며, 2032년까지 연평균 6.6%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저당·고단백·프리바이오틱스 연계 소비가 증가하고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소비가 증가하고 다양한 맛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와 맞물려 이젠 우리나라에서도 세계 각국의 다양한 발효식품들을 쉽게 맛볼 수 있어요. 콤부차부터 사워도우, 그릭요거트, 미소, 낫또, 템페까지. 여러분은 어디까지 드셔보셨나요?
한국의 전통 발효식품도 건강 기능성이 입증되며 주목받고 있어요. 특히 우리 쌀과 토종 유산균으로 만든 ‘한국형 쌀 유산발효물’은 장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전통 된장에서 분리한 JSA22* 유산균을 활용해 발효한 쌀 유산발효물은 대장염과 과민성장증후군을 개선하는 효과를 가졌다고 해요.
*락티플란티바실러스 플란타럼(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JSA22)
일부 우유를 발효한 식품은 과민성장증후군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는데 반해, 쌀 유산발효물은 장내 유익균을 늘려 복부 불편감을 개선하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데요. 최근에는 쌀을 활용한 발효 식품이 비건 요거트로 불리는 ‘쌀 요거트’ 형태로도 출시되며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다른 전통 발효식품인 김치나 장류는 북미와 유럽 등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어요. 고추장은 영어로도 Gochujang, 된장은 Doenjang. 이렇게 이름 그대로 번역되어 올라온 다양한 레시피 영상들은 한국 발효식품의 세계적 인기를 실감케 합니다.
발효식품+돼지고기=환상의 궁합
발효식품은 돼지고기와도 참 잘 어울립니다. 둘의 만남은 맛뿐만 아니라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하기 때문이죠. 발효 과정에서 생긴 유산균과 효소가 돼지고기의 단백질과 지방을 분해해 소화를 돕고, 감칠맛을 한층 더 끌어올립니다. 발효식품을 활용한 돼지고기 요리를 통해 맛과 건강을 모두 챙겨보세요.
🍆돼지고기 가지 미소된장볶음
일본의 발효식품 미소된장 양념으로 가지와 얇게 저민 목살을 볶아낸 요리예요. 미소된장 중에서도 붉은 아카미소(적미소)가 볶음용으로 좋습니다. 가지는 소금에 절였다가 노릇하게 볶아주고, 목살과 미소양념을 넣고 볶아주세요.
🥓등심 달래맥적
돼지 등심을 달래와 함께 양념하여 구워내는 전통 음식입니다. 부추와 달래를 송송 썰어 참치액, 참기름과 섞어 만든 양념장에 돼지 등심을 30분 이상 숙성시켰다가 구워주세요. 전통 발효식품인 막걸리와 함께 즐기면 고기의 풍미가 더욱 살아나요.
🦐새우젓 돼지고기찜
젓갈도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발효식품이죠. 특히 새우젓은 단백질과 지방 분해효소가 풍부하여 돼지고기와 찰떡궁합을 자랑합니다. 목살 또는 사태살에 새우젓으로 밑간을 하고, 양파, 대파, 애호박, 청양고추를 고기 위에 얹어서 찜기에 쪄주세요. 새우젓의 감칠맛과 돼지고기의 고소함이 어우러져 깔끔한 맛을 즐길 수 있어요.
돼지고기 가지 미소된장볶음과 새우젓 돼지고기찜에 활용해보면 좋을 하이포크 목살은 여기에서 구매할 수 있어요!
CONTACTS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일로 166, 6층 (주)팜스코
COPYRIGHT © FARMSCO. ALL RIGHTS REVERVED
관리자로그인